카테고리 없음

뉴질랜드 교육 제도

두리아빠119 2005. 7. 11. 19:20
교육에 대한 열정과 투자를 아끼지 않는 뉴질랜드 정부는 19세까지 무료 교육을 원칙으로, 16세까지 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있다. 만 5세가 되면 초등학교 교육이 시작되어, Intermediate School과 College를 Year 13년으로 졸업한 후, 대학으로 입학된다. 우리나라의 고등 학교 과정이 총 12년인데 반해 1년이 더 많은 셈이다. 뉴질랜드의 교육은 실질적이고, 개인의 능력과 독창성을 깨우쳐주는 교육으로써 최종 교육 과정인 대학의 학습은 세계적인 성과를 자랑하고 있다. 뉴질랜드 조기 교육을 희망하는 외국 학생들은 나이와 영어 실력을 기준하여 보통 Year 1에서 11까지 입학이 가능하다.    

1. 유아교육 (Early Childhood)
Playcentre라고 칭해지는 유아원 입학은 만 3세 전후로 부모의 결정에 의해 이루어 지며, 유아원 이후의 단계로 Kindergarten(유치원)에 입학을 하기도 한다. 유치원은 공립과 사립으로 나뉘어져 신청을 받는데, 보통 공립이 훨씬 저렴하여 신청이 밀린다. 뉴질랜드 정부와 사설기관은 맞벌이 부부들이 늘어남에 따라 어린 아이들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학습 놀이 공간을 마련하고 있으며 원주민인 마오리 자녀들을 위한 조기 교육 센터(코항가 레오)를 운영하기도 한다.  

2. 초등교육 (Primary Schooling)
만 5세가 되면 부모는 개인적으로 학교를 선택하여 아이를 초등학교에 입학시킨다. 보통 기초적인 초등교육은 5~6세까지로 Junior과정이다. 이후에는 Primary 또는 Intermediate의 학습이 이어진다. 7세부터 4년간 Primary의 Standard 과정을 보내는데, 중고등 교육 과정을 위한 Form 1, 2가 포함된다. 이때에는 좀더 독립적이고 조직적인 학습 방법을 시작으로 특정 주제에 대한 Project를 완성하는 훈련을 하기도 한다.

3. 중고등 교육 (High Schools)
학년을 기준하여 Form3~7까지 단계가 있으며, High School보다는 College의 이름을 가진 학교가 많다. Form 3학생들은 영어, 수학, 과학, 사회 과목 외에 음악, 미술, 체육 등을 배우며, 1개 이상의 외국어를 선택하여 배운다. Form5를 마치면 사회에 진출이 가능하며, 대학 진학을 꿈꾸는 Form6와 From7의 Senior 학생들은 문과, 이과 등으로 나누어져 그 전공 과목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그리고 매년 1월 한국의 수능인 Bursaries 시험을 통해 대학에 입학한다. 이 Bursaries 시험은 2003년 올해가 마지막으로 NCEA(National Certifcate of Educational Achievement)제도로 바뀌게 되는데, 이것은 Form5에서 7까지의 내신 성적을 기준하여 입학하는 내신 성적 입학제다.
  
4. 대학 교육 (Tertiary Studies)
뉴질랜드 대학 system은 획일화된 한국의 것과는 상당히 다르다. 학사 이상의 Degree 과정은 물론, 한학기 이상의 단기 Certificate(자격증)과정과 한국의 전문대학과정(2년)인 Diploma(수료증) 과정을 공부할 수 있으며, 반면 전문 대학(Polytec)이나 단과 대학(Institute)에서도 Degree 이상의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전공과 학습 기관에 따라 전공 이수 기간의 차이를 보인다. 보통 대학의 학사 과정은 3년 과정이지만, 법대는 5년, 의대는 6년 과정이며 같은 건축학 과정이라도 학교에 따라 3년 과정과 5년 과정으로 수업 내용이 다르다.  

고등교육 이후의 교육 과정을 Tertiary 학습으로 칭하며, 여기에는 전문 학원과 단과 대학인 Institute과정과 영국 폴리테크닉 제도를 모델로한 전문 대학(Polytec)과정 그리고 종합대학(University)과정이 있으며, 4개의 독립적 교육대학과 와이카도 교육대학을 포함한 6개의 교육대학이 있다. 뉴질랜드에는 25개의 국립 전문 대학이 있는데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과반수가 이곳에서 마지막 교육을 받고 있다.